성경속이야기

가톨릭 미사나 정교회 예배, 성공회 전례 중, 향을 피우는 모습은 무슨 의미일까?

별의별이야기쟁이 2025. 3. 11. 21:50
반응형

카톨릭과 정교회에서 사제들이 흔드는 향로의 의미

1. 서론: 향을 피우는 행위의 신비

가톨릭 미사와 동방 정교회의 예배(성찬예배)에서 사제들이 향로(thurible, censer)를 흔들며 연기를 피우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전통적인 의식이 아니라 깊은 신학적 의미와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향을 피우고 사람들에게 뿌리는 행위는 성경적인 뿌리를 가지며, 신앙 공동체 안에서 영적 의미를 내포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이 글에서는 향을 사용하는 성경적 기원, 역사적 발전, 카톨릭과 정교회 전통에서의 역할, 그리고 그 신학적 의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2. 향을 사용하는 성경적 기원

(1) 구약 성경에서의 향

향을 사용하는 전통은 성경에서 유래한다. 특히, 구약 성경에서는 향이 하나님께 드려지는 제사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였다.

  • 출애굽기 30:34-38
    하나님은 모세에게 성소에서 사용할 특별한 향을 만들라고 명령하셨다. 이 향은 거룩한 용도로만 사용되었으며, 사람이 개인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되었다.
  • 출애굽기 40:26-27
    모세가 성막을 세울 때, 분향단 위에서 향을 피우며 거룩한 예배를 드렸다.
  • 시편 141:2
    "나의 기도가 주의 앞에 분향함 같이 되며 내 손 드는 것이 저녁 제사 같이 되게 하소서."
    여기서 향은 기도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 말라기 1:11
    "해 뜨는 곳에서부터 해 지는 곳까지 이방 가운데서 내 이름이 크게 될 것이며 각처에서 내 이름을 위하여 분향하며 깨끗한 제물이 드려지리니..."
    여기서도 향을 피우는 것이 예배의 중요한 요소로 나타난다.

구약에서 향을 피우는 것은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와 찬양을 상징하며, 성전에서 제사를 드릴 때 반드시 수행되었다.

(2) 신약 성경에서의 향

신약에서도 향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누가복음 1:8-11
    세례 요한의 아버지 사가랴는 제사장으로서 성전에서 향을 피우는 임무를 수행했다.
  • 요한계시록 5:8
    "그들이 각기 거문고와 향이 가득한 금 대접을 가졌으니 이 향은 성도들의 기도들이라."
    향이 성도들의 기도를 상징함을 보여준다.
  • 요한계시록 8:3-4
    "또 다른 천사가 와서 제단 곁에 서서 금 향로를 가지고 많은 향을 받았으니 이는 모든 성도의 기도들과 합하여 보좌 앞 금 제단에 드리고자 함이라."
    천사가 향을 피우며 성도들의 기도를 하나님께 올려드리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처럼 성경에서 향은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 경배, 그리고 성결함을 의미하는 중요한 상징으로 사용된다.


3. 향을 사용하는 교회의 역사

(1) 초대교회에서의 사용

초대교회에서도 향을 사용하는 전통이 이어졌다.

  •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가 박해받을 때, 그리스도인들은 향을 피우는 것을 우상 숭배의 한 형태로 오해받아 사용을 피하기도 했다.
  •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성경적 의미를 되새기며 예배에서 향을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다.

(2) 중세 시대의 발전

가톨릭과 정교회 모두 중세 시기에 향을 예배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게 했다.

  • 로마 가톨릭교회
    • 미사 중 복음서 봉독 전에 향을 사용하며, 신부와 회중을 향해 뿌린다.
    • 성체를 모실 때, 성체와 제단 주위를 향으로 감싼다.
  • 동방 정교회
    • 성찬예배 중 성화(이콘), 성경, 제단, 성직자, 그리고 신자들을 향해 향을 피운다.
    • 향은 거룩함을 나타내며, 성령의 임재를 상징한다.

4. 향을 흔드는 의미

(1) 하나님의 임재

향 연기는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한다. 출애굽기에서 성막이 구름으로 덮였던 것처럼, 예배 중 피우는 향은 하나님의 거룩한 임재를 나타낸다.

(2) 기도의 상징

요한계시록 5:8과 8:3-4에서처럼, 향 연기는 성도들의 기도가 하늘로 올라가는 것을 상징한다. 신자들은 향을 보며 자신들의 기도가 하나님께 올려지고 있음을 기억한다.

(3) 정결과 성결

향은 성전을 정결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구약에서도 성막과 성전을 정결하게 하기 위해 향을 피웠듯이, 오늘날 교회에서도 제단과 예배 공간을 거룩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4) 성령의 역사

향 연기는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성령의 움직임을 상징한다. 바람처럼 움직이는 향 연기는 성령의 인도하심과 활동을 나타낸다.

(5) 성도들을 향한 축복

가톨릭과 정교회에서 사제는 신자들에게 향을 흔들며 축복한다. 이는 성도들이 하나님의 거룩한 향기가 되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가진다.


5. 가톨릭과 정교회의 향 사용 방식

(1) 가톨릭교회의 향 사용

  • 미사 중 복음 낭독 전, 제단 봉헌, 성체 거양, 장례 미사 등에서 사용한다.
  • 향을 흔드는 횟수는 전통적으로 3번, 2번, 1번 등 정해진 패턴이 있다.
  • 주교, 사제, 복음서, 성체, 신자들을 향해 흔들며 축복한다.

(2) 정교회의 향 사용

  • 성찬예배 중 성직자와 신자들을 향해 향을 흔든다.
  • 성화(이콘)와 성경을 향해 먼저 향을 피운다.
  • 신자들은 향을 볼 때 경건한 태도로 성호를 긋거나 머리를 숙인다.

6. 결론

향을 피우고 흔드는 행위는 단순한 전통이 아니라 깊은 신학적 의미를 가진다.

  • 하나님의 임재를 나타내고,
  • 기도의 상징이 되며,
  • 성전을 정결하게 하고,
  • 성령의 역사와 축복을 나타낸다.

가톨릭과 정교회 모두 향을 사용하며 예배의 신비와 거룩함을 더 깊이 체험하게 만든다. 향을 볼 때마다 신자들은 자신의 기도가 하나님께 올려지고 있으며, 성령의 임재 안에서 예배드리고 있음을 기억하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