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별이야기

바르코크바 항쟁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유대-로마 전쟁! AD 1세기 중동!

별의별이야기쟁이 2024. 10. 21. 16:14
반응형

바르코크바 항쟁은 기원후 132년부터 135년까지 로마 제국에 맞서 일어난 유대인의 반란으로, 역사적으로 세 번째 유대-로마 전쟁이라고도 불린다. 이 항쟁은 유대인들에게는 로마의 억압으로부터 해방을 꿈꾸는 마지막 대규모 저항이었으며, 반란의 지도자인 시몬 바르 코크바(Simon Bar Kokhba)의 이름을 따서 '바르코크바 항쟁'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바르코크바는 많은 유대인들에게 메시아로 여겨졌으며, 그의 지도 하에 유대인들은 일시적으로 독립 국가를 세우고 로마 제국에 대항했다.
 
하지만 이 항쟁은 결국 로마의 막대한 군사력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후 유대인은 엄청난 인적·물적 피해를 입었다. 특히 예루살렘과 유대 지역은 철저히 파괴되었으며, 유대인들은 이 지역에서 추방되거나 강제 이주당하는 등 엄청난 고난을 겪게 되었다. 이 항쟁은 유대인의 역사에서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으며, 유대교와 유대 민족의 정체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1. 바르코크바 항쟁의 배경

바르코크바 항쟁의 배경에는 유대인들의 오랜 불만과 로마 제국의 억압적인 정책이 자리 잡고 있다. 로마 제국은 기원후 70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 이후 유대 지역을 철저히 통제하려고 했으며, 특히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된 이후 로마는 유대교의 중심을 무너뜨리고자 했다.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Hadrian)는 유대교의 종교적 자유를 제한하고, 유대인의 민족적 자존심을 짓밟는 정책을 시행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예루살렘을 이방인의 도시로 재건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는 예루살렘에 '아일리아 카피톨리나(Aelia Capitolina)'라는 이름의 로마 도시를 세우고, 그곳에 주피터 신전을 건설하려고 했다. 이는 유대인들에게 큰 모욕이었으며, 성전이 파괴된 후에도 그들은 예루살렘을 종교적·민족적 중심지로 여겼다. 이러한 하드리아누스의 정책은 유대인들에게 로마의 통치가 단순한 정치적 지배를 넘어, 그들의 종교적 정체성까지도 말살하려는 시도로 여겨졌다.
 
또한 하드리아누스는 유대교의 핵심인 할례를 금지했다. 할례는 유대인들에게 하나님의 언약을 상징하는 매우 중요한 종교적 의식이었기 때문에, 이를 금지한 것은 유대인들의 종교적 자유에 대한 중대한 침해로 받아들여졌다. 이러한 일련의 정책들은 유대인들 사이에 깊은 불만과 저항의식을 불러일으켰다.
 

2. 시몬 바르코크바의 등장과 반란의 시작

이러한 상황에서 시몬 바르 코크바가 유대인의 지도자로 등장했다. 바르 코크바는 본래 이름이 시몬 벤 코셰바(Simon ben Kosevah)였으나, '별의 아들'을 뜻하는 '바르 코크바(Bar Kokhba)'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는 메시아적 의미를 담고 있는 이름으로, 당시 유대인들은 바르코크바를 메시아로 믿고 따랐다. 그는 로마에 맞서 유대 민족의 해방을 이끌 지도자로 떠오르며, 유대인들로부터 열광적인 지지를 받았다.
 
바르코크바는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무장 봉기를 일으켰고, 초기에는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의 군대는 로마의 군대를 물리치고 예루살렘을 탈환했으며, 유대 땅의 대부분을 로마의 통치에서 벗어나게 했다. 바르코크바는 예루살렘에서 유대 국가를 재건하고, 독립된 정부를 세웠다. 당시 유대인들은 그의 지도 아래 로마로부터 독립을 쟁취할 수 있다는 희망을 품었으며, 바르코크바는 실제로 약 2년 동안 예루살렘을 포함한 유대 지역을 통치했다.
 
이 시기에 바르코크바는 독립된 유대 국가의 왕으로서 화폐를 발행했으며, 이 화폐에는 성전의 이미지와 '이스라엘의 자유'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 이는 바르코크바가 단순한 반란 지도자를 넘어 유대 민족의 왕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조치였다.
 

3. 로마 제국의 반격

바르코크바의 반란은 로마 제국에게 큰 위협으로 다가왔다. 초기에는 로마 군대가 예상치 못한 저항에 고전했으나,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바르코크바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막대한 군사력을 동원했다. 로마는 당시 유능한 장군이었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Septimius Severus)를 파견하여 반란을 진압하도록 했다.
 
세베루스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체계적인 전략을 사용했다. 그는 유대 지역을 철저히 봉쇄하고, 반란군의 보급선을 차단하며, 하나씩 반란군의 거점을 공격했다. 바르코크바와 그의 군대는 유대 땅 전역에서 로마 군대와 치열한 전투를 벌였으나, 점차 로마의 압도적인 군사력에 밀리기 시작했다. 특히 로마는 유대인의 반란을 완전히 진압하기 위해 유대 지역의 주요 도시와 마을들을 차례대로 파괴했다.
 
결국 바르코크바와 그의 군대는 베타르(Bet Tar)라는 요새에 갇히게 되었다. 베타르는 유대인들에게 마지막 희망의 요새로 여겨졌으나, 135년 로마 군대에 의해 함락되었다. 이 전투에서 바르코크바도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으로 바르코크바 항쟁은 종결되었다. 베타르의 함락과 함께 유대인의 마지막 저항은 끝이 났고, 로마는 유대 지역을 철저히 파괴했다.
 

4. 바르코크바 항쟁의 결과와 영향

바르코크바 항쟁은 유대인들에게 엄청난 비극을 남겼다. 로마는 반란 이후 유대 지역을 철저히 초토화했으며, 수많은 유대인이 전쟁 중에 사망하거나 노예로 팔려갔다. 로마 제국은 유대인의 반란을 완전히 뿌리 뽑기 위해 유대 지역을 아예 재편성했다. 특히 예루살렘은 유대인들이 다시는 거주할 수 없도록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명령에 따라 로마 식민지로 변모되었다.
 
예루살렘은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라는 이름으로 다시 세워졌으며, 그곳에는 유대교와 관련된 모든 흔적이 지워졌다. 주피터 신전이 세워졌고, 유대인들은 예루살렘에 발을 들이는 것조차 금지되었다. 이는 유대인들에게 엄청난 상처를 남겼으며, 이후 수세기 동안 예루살렘은 유대인의 접근이 금지된 도시로 남았다.
 
또한, 로마는 유대인의 민족적 자부심을 완전히 꺾기 위해 유대 땅의 이름을 '팔레스타인(Syria Palaestina)'으로 변경했다. 이는 고대 이스라엘의 적이었던 '블레셋인(Philistines)'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유대인의 민족적 정체성을 말살하기 위한 조치였다. 이로 인해 '팔레스타인'이라는 지명이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바르코크바 항쟁의 패배는 유대인들에게 역사적 전환점이 되었다. 유대인은 이후 더 이상 독립된 국가를 세우지 못했으며, 전 세계로 흩어져 디아스포라로 살아가게 되었다. 특히 유대 지역의 많은 학자와 종교 지도자들이 추방되거나 사망하면서 유대교의 중심이 팔레스타인에서 바빌론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5. 바르코크바의 메시아적 이미지와 역사적 평가

바르코크바는 당시 유대인들에게 메시아로 여겨졌으나, 그의 실패는 이후 유대교 내에서 메시아 사상에 대한 중요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유명한 랍비였던 아키바(Akiva)는 바르코크바를 메시아로 인정하고 그를 지지했으나, 그의 패배 이후 많은 유대인은 메시아에 대한 기대를 수정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유대교에서는 정치적 메시아 사상이 점차 약화되었고, 영적 구원과 내적인 신앙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유대교가 로마 제국의 억압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이었으며, 메시아적 기대는 다가올 미래의 구원으로 미루어졌다. 바르코크바 항쟁 이후 유대교는 더 이상 무장 봉기를 통한 정치적 독립보다는 종교적 순수성과 공동체의 생존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결론

바르코크바 항쟁은 유대 민족의 마지막 대규모 저항이었으며, 그 결과는 유대인들에게 큰 비극을 초래했다. 로마의 강력한 군사력에 맞서 싸운 유대인들은 패배하였고, 이후 유대 민족은 수세기 동안 디아스포라로서 살아가야 했다. 바르코크바 항쟁은 유대교와 유대 민족의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정치적 독립의 실패는 종교적 사상과 신앙의 변화로 이어졌다.

300x250